티스토리 뷰

반응형

상속받은 비 가상 함수는 재정의하면 안 된다

 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#include <iostream>
class A
{
public:
    void f()
    {
        std::cout<<"A꺼"<<std::endl;
    }
};
 
class B: public A
{
public:
    void f()            //이녀석이 A의 f를 가려줄 겁니다.
    {
        std::cout<<"B꺼"<<std::endl;
    }
};
 
 
 
int main()
{
   B x;         //자식 타입의 객체
   A *pA = &x;  //자식타입의 객체에 대한 포인터를 가리킵니다.
   pA->f();      //이 객체의 f함수를 호출합니다.
 
   B *pB = &x;  //자식타입의 객체에 대한 포인터를 가리킵니다.
   pB->f();      //이 객체의 f함수를 호출합니다.
   return 0;
}
 
 
 
 
 
 
cs

분명 "A 꺼 B 꺼" 이렇게 나온다는 걸 전부 알고 계십니다.

pA->f(); 가 "A 꺼"라는 이유는 함수 f()가 비가상 함수이기 때문입니다.

타입이 A클래스에 대한 포인터 타입으로 선언되었기 때문에

이를 통해 호출되는 비 가상 함수는 항상 A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다고 결정해 버리는 겁니다.

가상 함수일 경우는 "B 꺼 B 꺼"라는 라는 결과를 뱉어 줄 겁니다.

가상 함수는 비 가상 함수처럼 정적 바인딩이 아닌 동적 바인딩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.

비 가상 함수일 경우에 함수 호출의 결정요인은 그 해당 객체가 아니라 그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의 타입이라는 겁니다.

 

총평

public 상속은 is-a 관계입니다.

그리고 비가상 함수는 클래스 파생에 관계없는 불변 동작을 정해주는 것입니다.

즉 불변의 동작을 원하여 만든 함수를 파생 클래스에서 다시 정의하면 이것이 목적이 있어 다시 정의하는 것이라면 결국 비 가상 함수를 쓸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.

결국. 목적이 있어 다시 정의하는 함수 일 경우에는 가상함수를 쓰는 것 이 좋습니다.

결국에는 비 가상 함수는 파생 클래스에서 제 정의하지 말자라는 이야기입니다.

 

 

반응형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«   2024/04   »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