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/Effective C++
항목 36 ] 상속받은 비 가상함수는 재정의하면 안된다
-=HaeJuK=-
2010. 3. 8. 10:26
728x90
반응형
상속받은 비 가상 함수는 재정의하면 안 된다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|
#include <iostream>
class A
{
public:
void f()
{
std::cout<<"A꺼"<<std::endl;
}
};
class B: public A
{
public:
void f() //이녀석이 A의 f를 가려줄 겁니다.
{
std::cout<<"B꺼"<<std::endl;
}
};
int main()
{
B x; //자식 타입의 객체
A *pA = &x; //자식타입의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가리킵니다.
pA->f(); //이 객체의 f함수를 호출합니다.
B *pB = &x; //자식타입의 객체에 대한 포인터를 가리킵니다.
pB->f(); //이 객체의 f함수를 호출합니다.
return 0;
}
|
cs |
분명 "A 꺼 B 꺼" 이렇게 나온다는 걸 전부 알고 계십니다.
pA->f(); 가 "A 꺼"라는 이유는 함수 f()가 비가상 함수이기 때문입니다.
타입이 A클래스에 대한 포인터 타입으로 선언되었기 때문에
이를 통해 호출되는 비 가상 함수는 항상 A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다고 결정해 버리는 겁니다.
가상 함수일 경우는 "B 꺼 B 꺼"라는 라는 결과를 뱉어 줄 겁니다.
가상 함수는 비 가상 함수처럼 정적 바인딩이 아닌 동적 바인딩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.
비 가상 함수일 경우에 함수 호출의 결정요인은 그 해당 객체가 아니라 그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의 타입이라는 겁니다.
총평
public 상속은 is-a 관계입니다.
그리고 비가상 함수는 클래스 파생에 관계없는 불변 동작을 정해주는 것입니다.
즉 불변의 동작을 원하여 만든 함수를 파생 클래스에서 다시 정의하면 이것이 목적이 있어 다시 정의하는 것이라면 결국 비 가상 함수를 쓸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.
결국. 목적이 있어 다시 정의하는 함수 일 경우에는 가상함수를 쓰는 것 이 좋습니다.
결국에는 비 가상 함수는 파생 클래스에서 제 정의하지 말자라는 이야기입니다.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