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728x90
반응형
2편: SAFE_DELETE / SAFE_DELETE_ARR – 안전한 포인터 메모리 해제
✅ 문제 상황
C++에서는 new
로 생성한 메모리를 반드시 delete
로 해제해야 합니다. 하지만 실수로 중복 delete를 하거나 delete 후 포인터를 그대로 두면, 이중 해제 (double free) 나 뎅글링 포인터 (dangling pointer) 문제가 생깁니다.
🧯 해결 방법: SAFE_DELETE 매크로
#ifndef SAFE_DELETE
#define SAFE_DELETE(var) { if ( (var) != nullptr ) delete (var); (var) = nullptr; }
#endif
#ifndef SAFE_DELETE_ARR
#define SAFE_DELETE_ARR(var) { if ( (var) != nullptr ) delete[] (var); (var) = nullptr; }
#endif
이 매크로는 포인터가 nullptr이 아닌 경우만 delete를 수행한 후, 반드시 nullptr로 초기화해줍니다.
🧠 사용 예시
int* pInt = new int(10);
SAFE_DELETE(pInt);
char* pStr = new char[100];
SAFE_DELETE_ARR(pStr);
⚠️ 주의할 점
delete
는nullptr
에 대해 호출해도 무방하나, 명시적으로 체크하면 가독성 향상delete[]
는 반드시 배열에 사용
🧰 inline 함수 대안
template<typename T>
inline void SafeDelete(T*& ptr) {
if (ptr != nullptr) {
delete ptr;
ptr = nullptr;
}
}
✅ 요약
매크로 | 설명 |
---|---|
SAFE_DELETE | 포인터 해제 후 nullptr 설정 |
SAFE_DELETE_ARR | 배열 해제 후 nullptr 설정 |
728x90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PowerShell
- 블루버블다이빙팀
- 서귀포
- C#
- 스쿠버다이빙
- 외돌개
- Build
- CMake
- DLL
- 윈도우
- 블루버블다이브팀
- 패턴
- OpenSource
- C++
- 제주도
- 블루버블
- 현포다이브
- 울릉도
- C# 고급 기술
- 성산블루버블
- Windows
- Thread
- 서귀포블루버블
- C#.NET
- 리눅스
- Sleep
- ip
- C
- 암호화
- Linux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