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🔍 UNREFERENCED_PARAMETER 매크로를 꼭 써야 하는 이유"이 매개변수 안 쓰는데… 지워도 되나?""경고가 자꾸 뜨네? 어떻게 없애지?"이런 고민, 한 번쯤 해보셨죠?C/C++ 코딩을 하다 보면 함수 시그니처에 선언된 매개변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.이럴 때 등장하는 게 바로 👉 UNREFERENCED_PARAMETER(x) 매크로입니다.⚠️ 문제 상황void OnEvent(int eventCode, void* pContext){ // 아직 pContext를 사용하지 않음 HandleEvent(eventCode);}Visual Studio에서는 이렇게 경고가 뜹니다:warning C4100: 'pContext': unreferenced formal paramet..

warning C4819: 현재 코드 페이지(949)에서 표시할 수 없는 문자가 파일에 들어 있습니다.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게 하려면 해당 파일을 유니코드 형식으로 저장하십시오."경고 C4819: 현재 코드 페이지(949)에서 표시할 수 없는 문자가 파일에 들어 있습니다.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게 하려면 해당 파일을 유니코드 형식으로 저장하십시오."라는 메시지는 소스 코드 파일에 현재 코드 페이지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.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해당 파일을 유니코드 형식으로 저장해야 합니다. 다음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입니다:파일을 유니코드 형식으로 저장하기Visual Studio에서 파일 열기경고가 발생한 파일을 Visual Studio에서 엽니다.다른 이름으로 저장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OpenSource
- Thread
- C#
- 성산블루버블
- 외돌개
- Linux
- PowerShell
- DLL
- 울릉도
- 서귀포블루버블
- 암호화
- Windows
- 블루버블다이브팀
- C
- 블루버블
- 현포다이브
- C#.NET
- Sleep
- 서귀포
- C# 고급 기술
- 리눅스
- 스쿠버다이빙
- CMake
- Build
- 패턴
- 제주도
- 블루버블다이빙팀
- ip
- 윈도우
- C++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